KASI 올해의 10대 뉴스 선정 결과 발표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은 2024년 천문연의 성과와 이슈를 결산하고 최신 연구동향과 천문우주과학 이슈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저변을 확대하고자 KASI 올해의 10대 뉴스를 선정했다. 1위 : CODEX 국제우주정거장 설치 완료 및 시험 운영 시작 2019년 10월부터 미항공우주국(NASA)과 공동으로 개발한 국제우주정거장용 태양코로나그래프(CODEX)가 올해 11월 5일 오전 11시 29분(현지 시각 11월 4일 21시 29분)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스페이스X사가 개발한 팰컨 9(Falcon … Read more

남병철 크레이터 – 대한민국 최초로 달 표면에 남긴 이름

대한민국 최초 달표면에 남긴이름 남병철 크레이터 표지사진

남병철 크레이터는 달 뒷면 크레이터(충돌구)에 조선시대 천문학자 남병철(1817∼1863) 선생의 이름이 붙게 됐다. 달 표면에 우리말 지명이 붙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리가 밤하늘을 올려다볼 때 마주하는 달은 인류 역사에서 끊임없이 탐구되고 사랑받아온 신비의 대상이다. 그런데 이제 이 달 표면에 대한민국의 이름이 새겨졌다. 바로 남병철 크레이터다. 이 이름은 대한민국 우주 탐사의 상징적 업적을 기리며, 우주 과학과 기술의 … Read more

2025년 주목할 천문현상

2025년 주목할 천문현상 표지 사진

2025년 주목할 천문현상으로는 다양한 천문 현상이 예정되어 있어 하늘을 관찰하는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다. 아래는 월별 주요 천문 현상과 그 날짜를 정리한 것이다. 1월 1월 4일 사분의자리 유성우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쌍둥이자리 유성우와 함께 3대 유성우 중 하나이다.사분의자리라는 별자리는 용자리에 흡수되어 사라졌지만, 예전부터 부르던 관습에 따라 사분의자리 유성우로 부른다.  사분의자리 유성우 극대기 (ZHR=120). 관측 최적기는 1월 3일 … Read more

명왕성-태양계 에서 퇴출

명왕성 태양계에서퇴출 사진

명왕성(Pluto)은 태양계의 외곽에서 태양을 공전하는 작은 천체로, 한때 태양계의 아홉 번째 행성으로 인정받았으나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의 결정에 따라 왜소 행성으로 재분류되고 태양계에서 퇴출 되었다. 이 재분류는 과학계와 대중 사이에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명왕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신비로운 천체 중 하나로 남아 있다. 이 글에서는 명왕성의 발견, 특징, 왜소 행성으로의 재분류, 그리고 그 탐사에 대해 알아보겠다. 명왕성의 발견 명왕성은 … Read more

블랙홀 여행-만약 우리가 들어간다면?

블랙홀 여행 사진

블랙홀여행은 우주에서 가장 신비롭고 극단적인 존재 중 하나로, 과학자들과 대중의 상상력을 자극해 왔다. 영화 인터스텔라와 같은 작품은 블랙홀 여행의 가능성과 그 미스터리를 탐구하며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그렇다면, 만약 우리가 블랙홀 안으로 들어간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이 글에서는 블랙홀의 기본 개념부터, 블랙홀 내부로의 가상 여행이 과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탐구해 보겠다. 블랙홀이란 무엇인가? 블랙홀은 중력이 매우 … Read more

한국의 KPS 사업 어디까지 왔나

KPS어디까지 왔나? 표지 사진

한국의 KPS 사업은 우리가 흔히 GPS로 알고 있는 위성항법시스템은 위성을 통해 위치(Positioning) 및 항법(Navigation), 시각(Timing) 정보(통칭 PNT 정보)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으로 오늘날 사용되지 않는 곳을 찾아보기 어렵다. 최근에는 드론, 자율주행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꼽히고 있으며, 자율주행차가 운전자 없이 안전하게 도로를 주행하기 위해서는 도로 위의 모든 객체가 통일된 좌표계 상에서 센티미터급의 정밀하고 신뢰성 있는 … Read more

달 착륙 실패 계속-실패의 원인분석

달착륙 탐사선 실패 계속된는 원인 표지

달 착륙 실패 계속 된다.인류는 1969년 아폴로 11호를 통해 달에 처음으로 착륙하며 우주 탐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그러나 그 이후로 달 착륙은 여전히 도전적인 과제로 남아 있다. 여러 나라와 기업들이 달 탐사를 시도하고 있지만, 여전히 실패 사례가 반복되고 있다. 2023년 러시아는 47년만에 “루나25호”를 발사해 실패하였고 인도의 “찬드라얀 3호”는 사상처음으로 달 남극 부근에 착륙하였다.2024년에는 일본이 보낸 … Read more

아르테미스 계획-우리나라 참여

아르테미스 계획 우리나라참여 표지 사진

아르테미스 계획(Artemis Program)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주도하여 유럽우주국(ESA),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캐나다우주국(CSA) 등 여러 국제 파트너와 함께 추진하는 달 탐사 및 유인 탐사 계획이다. 2021년 5월, 대한민국은 아르테미스 약정(Artemis Accords)에 공식 서명했다. 이 계획의 목표는 단순히 인간을 다시 달에 보내는 데 그치지 않고, 지속 가능한 달 탐사 기반을 구축하며, 이를 발판 삼아 화성 탐사를 준비하는 데 있다. 아르테미스 … Read more

금성의 다른이름 개밥바라기와 샛별

금성의 다른이름 표지 사진

금성의 다른이름 개밥바라기와 샛별은 금성을 관측하는 시간(초저녁,새벽)에 따라 다른이름으로 불리워진다.금성은 시기에 따라 초저녁이나 새벽에 잠깐동안만 관측할 수 있다. 금성은 태양과 가까운 궤도를 돌기 때문에 주로 초저녁(일몰 직후)이나 새벽(일출 직전)에 관측 가능하다. 관측 가능 시기는 금성의 이각(elongation), 즉 태양과 금성 사이의 각도로 결정된다. 금성의 개요 금성은 태양과 두번째로 가까운 행성이다. 지구 공전면의 안쪽에서 공전하므로 내행성이라 부른다. … Read more

오르트 구름은 태양계 끝인가?

오르트구름 태양계끝인가? 표지사진

오르트 구름은 태양계 끝인가?라는 질문은 그리 단순한 것 이 아니다. 태양계는 태양과 그 주위를 도는 8개의 행성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태양계의 끝은 그리 명확하지 않으며, 태양의 영향을 받는 영역은 상상할 수 있는 범위를 훨씬 넘어서 뻗어 있다. 이 거대한 우주적 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경계 중 하나는 바로 오르트 구름(Oort Cloud)이다. 오르트 구름은 … Read more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