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라리움(Stellarium) 사용법-실전사용

스텔라리움(Stellarium)은 무료로 제공되는 오픈 소스 천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별, 행성, 은하 등을 실감 나게 표현하여 천체 관측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스텔라리움은 특히 천문학을 배우거나 관측 계획을 세우려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하며, 윈도우, 맥OS, 리눅스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스텔라리움의 주요 기능과 기본적인 사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다운로드

스텔라리움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최신 버전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합니다.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선택하여 설치 파일을 실행합니다.

설치

다운로드한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 과정을 진행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스텔라리움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언어 설정

스텔라리움은 기본적으로 영어로 설정되어 있지만, 프로그램 내에서 한국어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설정(Settings) 메뉴에 들어가서 언어(Language)를 선택하고, 한국어를 설정하면 됩니다.

스텔라리움을 실행하면 하늘을 바라보는 듯한 화면이 나타납니다. 기본 인터페이스는 다소 단순해 보일 수 있지만, 아래의 주요 기능을 통해 다양한 천체를 탐험할 수 있습니다.

처음 실행시 화면

좌측 메뉴

화면 왼쪽에는 설정과 관측 도구가 있습니다. ‘천체 검색’, ‘하늘과 전망 설정’, ‘망원경 제어’와 같은 도구가 포함되어 있으며, 천체 정보 조회나 고급 설정을 할 때 사용됩니다.

하단 메뉴

화면 하단에 위치한 메뉴바를 통해 주요 기능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날짜 및 시간 설정, 관측 위치 설정, 하늘과 지평선 보기 옵션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좌측과 하단 메뉴

하늘 보기 화면

화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하늘 보기 화면에서는 현재 시간과 위치에 따른 하늘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마우스를 사용하여 화면을 회전하거나 확대/축소할 수 있습니다.

스텔라리움의 강력한 기능 중 하나는 시간과 날짜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과거 또는 미래의 하늘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와 시간설정 화면

날짜 및 시간 변경

하단 메뉴의 시계 아이콘을 클릭하여 날짜와 시간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날짜와 시간을 설정하면 해당 시점에서 보이는 하늘이 표시됩니다.

시간 빠르게 진행하기

키보드의 L 키를 누르면 시간이 빠르게 진행됩니다. 반대로 K 키를 누르면 시간이 멈추고, J 키를 누르면 시간이 뒤로 흐릅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천체의 움직임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텔라리움은 사용자의 관측 위치를 기준으로 하늘을 표시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천체 관측을 위해서는 현재 위치를 올바르게 설정해야 합니다.

위치 설정

하단 메뉴에서 위치 창(Location Window) 아이콘을 클릭하면 관측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창이 열립니다. 여기서 전 세계의 다양한 도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직접 위도와 경도를 입력해 세부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위치 설정 방법

즐겨찾기 위치

자주 관측하는 위치를 즐겨찾기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위치 창에서 즐겨찾기에 추가하여 나중에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스텔라리움에는 60만 개 이상의 별과 다양한 천체 데이터베이스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특정 천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천체 검색

좌측 메뉴의 검색(Search) 기능을 사용하여 찾고자 하는 천체의 이름을 입력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Mars(화성) 또는 Andromeda Galaxy(안드로메다 은하)를 검색하면 해당 천체가 화면 중앙에 표시됩니다.

화성(mars)을 입력하고 검색 돋보기 클릭

천체 정보

천체를 클릭하면 이름, 별자리, 거리, 밝기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를 통해 천체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할 수 있습니다.

별자리 보기

단 메뉴에서 별자리 라인, 별자리 이름, 별자리 그림 옵션을 켜서 별자리의 모양과 이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별자리를 학습하는 데 유용합니다.

스텔라리움에서는 하늘과 지평선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통해 좀 더 생동감 있는 관측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늘 설정

좌측 메뉴의 하늘과 전망 설정(Sky and Viewing Options)에서 하늘에 보이는 요소들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별의 밝기, 성운 및 은하의 가시성, 대기 효과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지평선 설정

지평선 모양을 바꿀 수 있는 기능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평평한 지평선이지만, 산, 도시 등 다양한 배경을 설정하여 관측 환경을 현실적으로 꾸밀 수 있습니다.

대기와 일출 설정

대기 효과일출 및 일몰 효과를 켜거나 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제 관측 상황에 더 가까운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스텔라리움은 특정 망원경을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실제 망원경으로 하늘을 관측하면서 스텔라리움에서 얻은 정보로 정확하게 대상 천체를 찾을 수 있습니다.

망원경 연결

정 메뉴의 플러그인(Plugin)에서 망원경 제어 플러그인을 활성화합니다. 설정을 완료한 후, 스텔라리움을 통해 망원경을 직접 제어할 수 있습니다.

추가 플러그인

스텔라리움에는 다양한 플러그인이 제공됩니다. 예를 들어, 인공위성 추적 플러그인, 초신성 데이터베이스 등도 활성화하여 더욱 다양한 천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텔라리움은 여러 단축키를 통해 빠르게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단축키는 다음과 같습니다.

L : 시간 빠르게 진행

J : 시간 뒤로 돌리기

K : 시간 멈춤

F3 : 천체 검색 창 열기

C : 별자리 라인 토글

G : 지상 보기 토글

A : 대기 효과 토글

Z : 줌 인/줌 아웃

단축키 모음

스텔라리움을 사용하여 화성을 찾아보고 관측하는 예제를 통해 실습해 봅시다.

1,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위치 창에서 현재 위치를 설정합니다.

2,검색 창을 열고, Mars(화성)을 검색하여 화면 중앙에 화성이 오도록 합니다.

검색창에 mars를 입력하고 검색

3,날짜와 시간을 조정하여 화성이 가장 잘 보이는 시간을 찾아봅니다.

화성 장면

4,망원경을 연결한 경우, 화성에 맞춰 망원경을 조정하여 실제 관측을 진행합니다.

스텔라리움은 직관적이고 풍부한 기능을 제공하여 천문학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나 하늘 관측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천체를 쉽게 관찰하고, 별자리에 대해 학습할 수 있으며, 망원경과의 연동을 통해 실제 관측 경험도 증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기본적인 개념과 기초 설명드렸지만 실제로 활용하며 많이 사용하는 위치설정하기 와 추가 자료 입력하는법, 일식등의 관측위치(식심) 상세설정법 등은 따로 작성하여 올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