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KPS 사업 어디까지 왔나

한국의 KPS 사업은 우리가 흔히 GPS로 알고 있는 위성항법시스템은 위성을 통해 위치(Positioning) 및 항법(Navigation), 시각(Timing) 정보(통칭 PNT 정보)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으로 오늘날 사용되지 않는 곳을 찾아보기 어렵다.

최근에는 드론, 자율주행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꼽히고 있으며, 자율주행차가 운전자 없이 안전하게 도로를 주행하기 위해서는 도로 위의 모든 객체가 통일된 좌표계 상에서 센티미터급의 정밀하고 신뢰성 있는 위치정보를 확보해야 한다. 이를 흔히 절대위치정보라고 하며, 위성항법시스템은 원천적으로 절대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PNT 정보시스템이다.

한국의 KPS 사업은 2035년을 목표로 제3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에 따라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Korean Positioning System) 구축을 계획 중이다.

미국, 러시아, 유럽, 중국과 같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 인도와 같이 한반도와 주변 영역에 센티미터급 위치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고정밀, 고신뢰성의 위성항법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평시에는 미국의 상용 GPS와 호환되어 현재보다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고, GPS 사용이 제한될 수 있는 유사시에는 우리의 위성항법시스템만으로도 PNT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PNT 정보체계를 확보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사업이다.

KPS(Korea Positioning System)는 한국의 독자적인 위성항법시스템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글로벌 항법 시스템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자국 내 위치 정보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KPS는 정지궤도 위성과 중궤도 위성으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한반도와 그 주변 지역에서 고정밀 위치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현재 KPS 사업은 2035년까지 완성을 목표로 개발 중이며, 총 7기의 위성이 발사될 예정이다.

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항우연(KARI,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도하고 있다.
다음은 KPS의 주요 현황입니다.

기술 개발

위성 설계, 신호처리 기술, 지상 관제 시스템 개발 등이 진행 중이다.

국제 협력

미국의 GPS, 유럽의 갈릴레오 시스템 등과의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예산과 투자

약 3조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되며, 민간 기업과의 협업으로 기술 개발 속도를 높이고 있다.

국가 안보 강화

GPS 의존도를 낮춤으로써 전시에 GPS 신호 교란이나 차단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산업 경쟁력 향상

자율주행차, 드론, 스마트팜 등 정밀 위치 데이터가 필요한 산업에 고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재난 대응력 강화

정확한 위치 정보는 자연재해, 구조 활동 등 다양한 응급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다.

민간 기술 활용 확대

항공, 해운,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밀 위치 정보가 상업적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크다.

KPS는 단순히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은 KPS 사업의 주요 비전이다.

독립적 항법 시스템 구축

KPS는 한국의 기술 자립성을 상징하는 사업이다.
이를 통해 위치 정보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전략적 가치가 높은 기술을 축적할 수 있다.

아시아 중심의 항법 시스템 허브 역할

한국은 KPS를 통해 아시아 지역 내 항법 시스템 중심 국가로 도약할 수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과 협력하여 KPS 기술을 수출하거나 공유하는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우주 산업과의 연계 강화

KPS 개발은 한국의 우주 산업 성장과도 연결된다.
위성 개발, 발사체 기술, 우주 관제 시스템 등 관련 기술이 한층 강화될 것이다.

초정밀 데이터 기반의 미래 산업 육성

KPS가 제공하는 초정밀 위치 정보는 스마트시티, 물류, 에너지 관리 등 미래 지향적 산업을 지원하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것이다.

글로벌 경쟁력 확보

현재 GPS(미국), GLONASS(러시아), 갈릴레오(유럽), 베이더우(중국)와 같은 글로벌 시스템이 위치 정보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KPS는 이를 보완하며,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기술 표준을 구축할 기회를 제공 할 것이다.

KPS의 성공적 개발과 운영에는 몇 가지 과제가 있다.

기술적 도전

초정밀 시스템 개발과 위성 발사 성공은 고난도의 기술을 요구한다.

예산과 투자 확보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정부와 민간의 협력 강화가 필수적이다.

국제 협력 및 경쟁

국제적으로 항법 시스템이 치열한 경쟁 구도를 이루고 있어, 차별화된 기술과 협력 전략이 필요하다.

KPS 사업은 한국의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경제와 안보, 과학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앞으로 KPS가 완성되고 상용화될 경우, 한국은 위치 정보 서비스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우주 강국으로 성장할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KPS는 단순히 한반도 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아시아 및 세계를 연결하는 중요한 기술 자산으로 자리잡을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