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의 다른이름 개밥바라기와 샛별

금성의 다른이름 개밥바라기와 샛별은 금성을 관측하는 시간(초저녁,새벽)에 따라 다른이름으로 불리워진다.
금성은 시기에 따라 초저녁이나 새벽에 잠깐동안만 관측할 수 있다.

금성은 태양과 가까운 궤도를 돌기 때문에 주로 초저녁(일몰 직후)이나 새벽(일출 직전)에 관측 가능하다.
관측 가능 시기는 금성의 이각(elongation), 즉 태양과 금성 사이의 각도로 결정된다.

금성의 개요

금성은 태양과 두번째로 가까운 행성이다. 지구 공전면의 안쪽에서 공전하므로 내행성이라 부른다.

천체중 3번째로 밝은데 첫번째는 태양이고 두번째는 달이다. 지구에서 보이는 이미지는 아름답지만, 대기의 대부분은 이산화탄소로 구성되어 있어 온실효과 때문에 높은 고온(459도C)과 고압(92bar-지구대기보다 90배넘는고압) 그리고 부식성 대기 등 하늘에서는 유독성 황산비가 내리면서 땅바닥이 바싹 타들어가는 극한 환경을 가진 행성이다.

가장 밝은때는 겉보기 등급이 -4.9정도이고 천체의 가장 밝은별인 시리우스 보다도 25배이상 밝은 행성이다.

금성 관측 주기

금성은 내행성이고 최대이각은 약 45도이다. 즉, 태양과 지구 금성이 이루는 각이 45도 정도 된다는 것 이다.

한시간에 지구는 15도 공전하니까 금성은 태양에서 아무리 멀리 떨어져도 3시간이 한계이다. 따라서 초저녁이나 새벽에만 금성을 볼 수 있는 것 이다.

금성은 약 584일의 주기로 지구에서 보이는 위치가 바뀐다.
내합에서 외합까지 약 290일, 외합에서 내합까지 약 290일 정도의 회합주기를 가지고 있다.

이 주기 동안 금성은 다음 두 가지 주요 상태를 보인다.

금성은 서방최대이각-외합-동방최대이각-내합-서방최대이각 순으로 보여진다.
이 중 내합-서방최대이각-외합 구간에서는 새벽에 관측되고, 외합-동방최대이각-내합 구간에서는 초저녁에 관측된다.

이중 최대이각 시기에 태양과의 각거리가 가장 멀어지므로 관측에 가장 용이한 것 이다.

개밥바리기-저녁별(금성의 동방최대이각)

태양이 진 후 서쪽 하늘에서 보이는 금성을 의미한다. 

태양이 지고서 서쪽 하늘에서 보이려면 태양이 금성보다 먼저 져야 한다.

즉 관측자 입장에서 금성은 태양보다 동쪽에 위치해야 한다.


샛별-새벽별(금성의 서방최대이각)

샛별은 이른새벽 동쪽하늘에서 보이는 금성을 의미한다. 

태양이 뜨기 전 동쪽 하늘에서 보이려면 금성이 태양보다 먼저 떠야 한다.

즉 관측자 입장에서 금성은 태양보다 서쪽에 위치해야 한다.

초저녁(저녁별) 관측

금성은 태양이 진 후 서쪽 하늘에 나타납니다.

2024년 초~5월까지 금성은 저녁 하늘에서 관측 가능하며, 3~5월에는 특히 밝게 보일 것입니다.
최고 관측 시기: 2024년 3월 중순~4월 말 (동방최대이각 시기)

새벽(새벽별) 관측

금성은 태양이 뜨기 전 동쪽 하늘에 나타납니다.
2024년 7월 중순~12월까지 새벽 하늘에서 금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최고 관측 시기: 2024년 10월~11월 (서방최대이각 시기)

맑은 날

금성은 천체에서 태양과 달 다음으로 밝은 3번째 천체이기에 매우 밝지만, 구름이 많거나 도심의 광공해가 심하면 관찰이 어려울 수 있다.

시간

일몰 직후(저녁별) 서쪽 또는 일출 직전(새벽별)에 동쪽 하늘의 낮은 각도를 보면은 관측 할수 있다.

광학 도구

맨눈으로도 충분히 볼 수 있지만, 망원경을 사용하면 금성의 위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정확한 관측 시간은 천문 앱(예: Stellarium, SkySafari)이나 천문대의 관측 정보를 활용하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